국내 고령인구 증가와 함께 사망자 수 또한 늘어나며 초고령사회를 넘어 다사(多死)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와 더불어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며 상조서비스업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2024년 3월 기준 국내 상조서비스 가입자 수는 892만 명이며, 상조회사가 가입자로부터 받은 선수금 규모는 9.45조 원을 기록하는 등 시장의 성장세가 이어지는 모습입니다.
그 가운데 상조서비스업계는 패러다임 대전환의 시기에 직면했습니다. 상위 대형사 위주로 시장이 재편되고, 공제회·중견기업·의료업계 등 다양한 플레이어가 시장에 진출 및 경쟁하며 외적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아울러 상조 3.0 시대를 맞이하여 전환상품 등을 통해 장례뿐만 아니라 출산·교육·웨딩·여행 등 생애주기 전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조회사가 토탈 라이프케어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또한 직영 장례식장 운영, 상조서비스 디지털화 등을 통해 내실을 강화하는 트렌드도 나타납니다.
상조서비스업계는 변화의 중심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미래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입니다. 본 보고서에서는 상조서비스업의 성장 배경과 시장 현황 및 주요 트렌드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기업의 전략 수립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본 보고서가 상조서비스업의 현황을 이해하고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