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쓸데있는 시사·경제 용어사전
이번 ‘알쓸사전’에서는 ‘AI 준비지수’와 함께, 빠른 성장세로 주식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는 ‘BBIG’ 등 주목할 만한 신조어들을 소개한다. 미래 산업과 관련된 핵심 키워드를 통해 현재의 흐름과 앞으로의 방향을 함께 살펴보면 어떨까?
dic

인공지능(AI)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 각국은 AI 도입을 위해 얼마나 준비되어 있을까요? 최근 발표된 ‘AI 준비지수(AI Preparedness Index, AIPI)’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비교적 AI 도입 준비가 잘된 국가로 평가받았습니다.

AIPI는 국제통화기금(IMF)의 논문을 통해 마우로 카자니가 박사가 발표한 지수로, AI 도입의 핵심 기반인 ▲디지털 인프라 ▲혁신및 경제 통합 ▲인적자본 및 노동시장 정책 ▲규제 및 윤리 등 네 가지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한국은 전 세계 165개국 중 15위를 기록하며, 주요 선진국들보다 앞선 수준의 준비도를 보였어요. 특히 AIPI를 구성하는 네 가지 세부 지표 가운데 세 부문에서 선진국 중앙값을 상회하는 우수한 성과를 보였는데요, ‘혁신 및 경제 통합’ 부문에서는 3위, ‘규제 및 윤리’와 ‘디지털 인프라’ 부문에서는 각각 18위를 차지했어요. 다만, ‘인적자본 및 노동시장 정책’ 부문에서는 24위에 머물러 다소 아쉬움을 남겼어요.

한편, 영국 옥스퍼드 인사이트가 발표한 ‘정부 AI 준비지수’ 평가에서도 한국은 미국, 싱가포르에 이어 3위를 차지한 바 있어요. 이는 최첨단 AI 모델을 자체 보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한국 정부가 세계 최고 수준의 AI 역량을 갖춘 국가로 도약할 잠재력을 충분히 지니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dic

최근 주식 시장에서 자주 언급되는 키워드 중 하나는 바로 ‘BBIG’ 입니다. BBIG는 미래 산업을 이끌 핵심 분야인 배터리(Battery), 바이오(Bio), 인터넷(Internet), 게임(Game) 산업을 대표하는 주요 종목들을 뜻해요. 이 네 분야는 높은 기술력과 빠른 성장세를 바탕으로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며, 최근 몇 년간 증권가와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성장 산업군으로 자리 잡았어요.

이와 함께 국내외 증시에서는 BBIG 관련 종목에 대한 투자 열기가 높아지며, 관련 ETF(상장지수펀드) 상품도 꾸준히 확대되고 있어요. 예를 들어, 미래에셋자산운용은 BBIG 중심의 투자 대상을 인공지능(AI) 등 혁신 기술 기업까지 확장하며 ETF 명칭을 새롭게 변경했고,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도 활발히 유입되고 있습니다. 특히 KRX BBIG 지수의 정기 변경 시점이 다가오면서, 신규로 편입되는 종목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BBIG 산업군은 기술 혁신과 글로벌 수요 증가에 힘입어 시장의 주요 축으로 자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