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배터리 산업에서 핵심 경쟁 영역은?
배터리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기술패권 경쟁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분야이다. 미국과 중국, 유럽 등은 자국 중심의 배터리 공급망 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더불어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 전동화·무선화 트렌드, 탄소 중립 등으로 인해 배터리 산업은 향후에도 뜨거운 관심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호에서는 배터리 생태계 내 경쟁 역학 구도를 분석하고, 미래 배터리 산업에서 핵심 경쟁 영역은 어떤 분야일지 살펴본다.
market

# 배터리 산업의 밸류체인 구성: 업스트림·미드스트림·다운스트림·폐기

배터리 산업의 밸류체인은 주요 원자재를 확보하는 업스트림으로 시작된다. 이어 원자재 제련과 배터리 핵심소재 및 셀 제조 단계의 미드스트림, 배터리 셀을 최종재에 맞게 모듈화하여 배터리 팩으로 제조하는 다운스트림, 마지막으로 폐배터리를 재사용 혹은 재활용하는 폐기 단계로 구성된다. 배터리 산업이 기술패권 경쟁의 중심으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주요 국가와 글로벌 기업들은 배터리 산업에서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배터리 밸류체인 내 활발한 경쟁과 협업을 보여주고 있다.

market

Source : 삼정KPMG 경제연구원

# 배터리 생태계 내 경쟁 역학 구도

원자재 확보 단계에서는 리튬, 코발트, 니켈과 같은 배터리 광물을 주력으로 채굴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전통 광산업을 영위해 온 앵글로아메리칸, 리오틴토 등의 기업도 배터리 핵심 광물 채굴에 나서면서 경쟁 구도를 이루고 있다.

제련 단계에서는 광물을 채취, 채굴해서 제련까지 하는 기업과 제련 기술에 특화된 기업 간의 경쟁이 두드러진다. 황산니켈의경우, 니켈 채굴부터 황산니켈 생산까지 수직 계열화를 이룬 진촨 그룹, 노릴스크 니켈, 스미토모메탈마이닝 등의 기업과 니켈중간제품을 제련하는 데 특화된 거린메이, 켐코, 유미코아 등의 기업이 경쟁하고 있다. 

배터리 핵심소재 제조 단계의 경우, 배터리 셀 제조사들이 동일한 핵심소재를 다수의 소재 기업으로부터 조달하고 있어 소재 제조사 간 경쟁이 활발하다. 자사의 전·후방 기업과 협업하는 모습도 관찰되는데, LG화학과 켐코가 한국전구체주식회사를 합작한 것이 대표적이다.

배터리 셀 시장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 기업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의 성장이 돋보인다. 배터리 셀제조 상위 10대 기업의 글로벌 시장점유율 기준, 한국은 2016년 7.2%에 그쳤으나 2022년 26.5%를 기록하며 과거 대비 약진하였다. 중국은 BYD, C ATL 외에도 2022년 EVE에너지 등 신규 배터리 기업이 상위권에 진입하면서 배터리 셀 시장의 저변을 넓히고 있다. 배터리 셀 제조사는 전통적인 완성차 기업과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합작기업을 설립하고 있다. 반면 테슬라는 배터리부터 완성차까지 일관 생산이 가능한 기가텍사스(미국 텍사스주 소재 기가팩토리)를 구축하고 배터리 원자재 조달에도 뛰어들면서 배터리 제조 역량 내재화에 도전하고 있다.

페배터리 재활용 단계에서는 확보할 수 있는 폐배터리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폐배터리 선점을 위한 재활용 전문 기업 간의 경쟁이 활발하다. 또한 성일하이텍과 SK이노베이션의 합작법인 설립과 같이 폐배터리로부터 희유금속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 간의 협업도 관찰된다.

market

# 미래 배터리 산업의 핵심 경쟁 영역 3가지

배터리 생태계의 경쟁 역학 구도를 토대로 3가지 핵심 경쟁 영역이 도출된다.

첫째, 업스트림 및 폐배터리 투자에 기반한 배터리 원료 확보 분야다. 최근 배터리 원료 공급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시장의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관건이 되었다. 이와 같은 가운데 중국 외 신규 시장에서 배터리 광물을 확보하거나, 폐배터리에서 원자재를 회수하는 시장에 진출하려는 수요가 점차 증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둘째, 재활용 원료부터 배터리 제조까지 환경 친화적인 순환 시스템의 구축이다. 폐배터리 재활용 분야는 비단 희유금속을 추출하는 영역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며 배터리 생산까지 연계하는 것이 필수다. 벨기에 기업인 유미코아는 재활용 원료를 확보하여 배터리 소재를 생산하고 이를 폭스바겐과 함께 설립한 합작법인을 통해 안정적인 판매 채널까지 확보하면서 기업 내 순환 시스템을 구축했다.

셋째, 배터리 구조 혁신 분야다. 과거에는 성능을 통한 혁신에 의존했다면, 이제는 CTP(Cell to Pack)와 CTC(Cell to Chassis) 기술을 아우르는 배터리 구조에 대한 혁신으로 방점이 찍히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기술패권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배터리 생태계의 경쟁 역학구도를 분석하여 핵심 경쟁 분야를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다. 배터리 시장에서 기업이 추가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통해 국내 배터리 기업이 미래 배터리 산업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를 기대한다.

*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본 칼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생태계 경쟁 역학 구도로 보는 미래 배터리 산업  Click!

CONTACT US

전략컨설팅부문 · 장성원 상무 (sungwonchang@kr.kpmg.com)
경제연구원 · 정미주 선임연구원 (mijujung@kr.kpm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