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바꿀 3색 바이오 시장, 어떤 준비가 필요한가?
바이오산업은 생명공학기술 발전에 따라 의·약학 분야뿐만 아니라 농업, 화학·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면서 미래 유망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래 유망산업으로 바이오산업에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를 알기 위해서는 바이오가 적용되는 산업 범위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번 호에서는 미래를 바꿀 3색 바이오를 토대로 레드·그린·화이트 바이오 시장의 부상과 기업의 대응 동향을 살펴본다.
market

바이오, 경제성장 촉진 및 사회문제 해결 위한 돌파구

바이오산업이 미래 유망산업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경제성장을 촉진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돌파구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생명공학기술이 발전하면서 바이오는 I CT(정보통신기술)·NT(나노기술) 등과 결합해 전 산업에 걸쳐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됐다. 또한 바이오는 고령화, 자원부족, 환경문제 등 인류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나아가 바이오 정보 플랫폼이 구축되고, 이를 인공지능(AI) 기술로 분석하게 되면서 추가적인 부가가치까지 창출할 것으로기대되고 있다. 

바이오산업이 창출할 수 있는 부가가치가 확대됨에 따라, 세계주요국들은 글로벌 바이오 경제 시대의 주도권을 획득하고자전략적으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제도와 규제를 개혁하면서 바이오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우선, 바이오 시장을 선도하는 미국은 생물공학 육성법 제정 외에도 2022 회계연도 정부 R&D 예산 배분 시 고려할 5대 우선 분야로 공공보건 안보 및 혁신을 제시했다. EU와 일본도 바이오 혁신 전략을 수립해 추진 중이며, 우리나라 역시 바이오산업 혁신을 위한 대책 마련 및 R&D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바이오산업 확대에 따른 레드·그린·화이트 바이오 3색 시장

바이오산업은 크게 3색 바이오 시장으로 구분된다. 레드 바이오는 생명공학이 의·약학 분야에 응용된 개념이고, 그린바이오는 생명자원 및 정보에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하여 농업, 식품, 자원 등에서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분야를 일컫는다. 화이트 바이오는 탄소자원을 활용해 탄소중립 구현 및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산업 소재의 안정적 생산과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신시장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생물공학 기반의 에너지·화학 바이오 분야이다.

레드 바이오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의약 시장은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와 같은 바이오 신약 개발이 시장을 견인해 연평균 8.4%로 성장하는 추세이다. 이에 의약품 제조·연구 수탁을 위한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와 같은 바이오 서비스 시장 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된다. 그린 바이오의 경우, 최근 자원·환경 등 글로벌 난제에 대한 대안으로 농업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마이크로바이옴, 고령화 및 식량부족을 타개하기 위한 대체식품 시장이 존재한다. 끝으로 화이트 바이오에서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바이오 연료와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이 각광받고 있다.

market

국내 레드·그린·화이트 바이오 시장 이슈 및 대응 방향

레드·그린·화이트 바이오 시장의 전망은 긍정적이지만, 부상하는 바이오산업을 선점하기 위해 극복해야 할 이슈가 존재한다. 첫 번째 이슈는 바이오산업 밸류체인 전반에 걸친 투입 비용이 높다는 점이다. 바이오산업 특성상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이 높은 구조이며, 특히 바이오 의약품의 경우 생산설비 구축 시 높은 투자 비용이 발생하여 개발부터 생산까지 전체 밸류체인을 영위할 경우 대규모 자금 투자가 발생하여 경제성을 하락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이슈는 국내 바이오산업의 기술력이 선도 국가 대비 기술격차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세 번째로는 바이오산업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낮은 사업화 확률을 감안하더라도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비즈니스 모델이 부족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경우,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매출 기준으로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우리 기업들은 글로벌 바이오산업에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먼저, 밸류체인 전반 비용 절감을 통해 경제성 확보에 힘써야 한다. 또한 기술력 제고를 위해서는 자체 기술개발 혹은 기술 보유 기업과의 제휴 전략을 병행하는 등 전략을 다각도로 고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바이오 기업의 발 빠른 대응과 다양한 사업화 시도가 이뤄질 수 있는 시장 환경을 마련하는 정부의 지원이 시너지를 이뤄야 한다. 이를 통해 국내 바이오 기업이 세계 무대에서 비상하기를 기대한다.

*본 칼럼에 대한 보고서 자료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레드그린화이트 바이오 시장의 부상과 기업의 대응 동향 (assets.kpmg)

CONTACT US

Life Science 산업리더 ·변영훈 부대표 (ybyun@kr.kpmg.com)
경제연구원 · 정미주 선임연구원 (mijujung@kr.kpm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