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5. 25 [한국경제]
'럭셔리 시장을 이끄는 뉴럭셔리 비즈니스 트렌드' 보고서 발간
글로벌 2942억달러로 13.5%, 한국 58억달러로 29.6% 성장
"해외여행 제한으로 명품 구매 등 보복소비 성향 두드러져"
지난해 글로벌 럭셔리 시장 규모는 2942억달러(약 374조원)로 전년보다 13.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전 세계 평균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세계 10위 시장으로 성장했다.
삼정KPMG는 25일 '럭셔리 시장을 이끄는 뉴럭셔리 비즈니스 트렌드' 보고서를 발간하고 지난해 국내 럭셔리 시장 규모가 58억달러라고 밝혔다. 전년보다 29.6% 증가한 수치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에는 7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주요 국가의 럭셔리 시장 규모는 미국이 641억달러로 1위였다. 중국(427억달러)과 일본(260억달러), 프랑스(151억달러), 영국(135억달러)이 뒤를 이었다. 한국(58억달러)은 10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국내 주요 백화점의 해외 유명 브랜드 매출 증감률은 37.9%, 전체 품목은 24.1%로, 해외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국내 소비자의 선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삼정KPMG는 "해외여행 제한이 지속되면서 명품 구매 수요가 백화점으로 집중되고 보복소비 성향이 두드러진 데 따른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뉴럭셔리 비즈니스 트렌드'로 △MZ세대의 럭셔리 소비층 확대 △온라인 플랫폼 경쟁 심화 △리테일 시장 활성화 △디지털 럭셔리 부상을 제시했다.
MZ세대가 새로운 럭셔리 소비층으로 자리잡으면서 컨템포러리 브랜드들이 일명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로 대표되는 클래식 럭셔리 브랜드를 위협할 신(新)명품으로 부상하고 있다. 또 럭셔리 영역이 라이프스타일 전반으로 확장되면서 키즈·펫·리빙 등으로 카테고리를 다변화하고 있다. 레스토랑·카페를 여는 브랜드도 늘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럭셔리 시장에서 온라인 채널이 차지하는 비중은 22%로 브랜드숍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온라인 럭셔리 시장은 파페치, 마이테레사와 같은 럭셔리 플랫폼이 주도해왔으나 최근 아마존과 알리바바 등 이커머스 기업과 럭셔리 브랜드 기업이 시장에 진출했다.
소유보다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로 인해 럭셔리 리세일 시장도 관심을 받고 있다. 중고 럭셔리 시장은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럭셔리 브랜드 기업도 중고 시장 진출에 적극적이다. 구찌와 버버리는 중고 럭셔리 플랫폼 더리얼리얼과 파트너십을 맺고 자사 상품을 플랫폼에 공급하고 있다.
럭셔리 브랜드 기업들이 Z세대를 미래 소비자로 확보하기 위해 디지털 시장에 뛰어드는 것도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구찌, 발렌시아가 등 럭셔리 브랜드 기업들은 NFT·AR·VR·3D 등을 활용해 메타패션, 디지털 런웨이, 디지털 아트워크 등 3가지 형태의 디지털 럭셔리 사업을 벌이고 있다. 이 보고서는 디지털 럭셔리 확대 배경으로 배타성·희소성·성장성을 꼽으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럭셔리 브랜드 기업을 둘러싼 시장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편, 럭셔리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되며 럭셔리 섹터가 새로운 투자처로 부상하고 있다. 사모펀드 및 벤처캐피털 등 글로벌 투자자들은 2017년부터 브라이틀링, 블루나일, 티파니 등 높은 브랜드 가치를 지닌 럭셔리 브랜드 기업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왔다.
최근에는 온라인 럭셔리 플랫폼 기업에 특히 주목하고 있다. 유럽 기반의 럭셔리 리세일 플랫폼 베스티에르 콜렉티브, 명품 시계 리세일 플랫폼 와치박스를 비롯해 다수 온라인 럭셔리 플랫폼이 수억 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또 파페치, 더리얼리얼, 마이테레사 등 주요 럭셔리 플랫폼은 기업공개(IPO)에 성공해 투자자금을 확보하고 서비스 영역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
김유미 삼정KPMG 재무자문부문 상무는 "국내 럭셔리 관련 기업들이 급변하는 럭셔리 시장 환경에 대응해 시장의 흐름을 모니터링하고 비즈니스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며 "럭셔리 소비자의 오프라인 고객 경험을 극대화하면서 온라인 접근성을 높이는 온·오프라인 양방향 접근 전략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럭셔리 리세일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자사 비즈니스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리세일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도 힘써야 한다"며 "럭셔리 유통 기업은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새로운 소비층 니즈에 맞춰 재편하면서 라이프스타일 전반을 아우르는 럭셔리 큐레이팅으로 소비자 니즈에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